리스트 뷰 사용 예제입니다. 기존 위젯과 다르게 리스트 뷰는 큰 리스뷰라는 틀에 작은 데이터들이 나열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작은 데이터들은 각각 xml로 따로 표현이 되어지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데이터와 xml을 묶어주는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adapter가 그 일을 하게 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크게는 adapter코드와 각각의 데이터를 표현해줄 xml파일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저는 데이터를 변경해서 사용하기 쉽게 아래와 같이 코드를 클레스로 나누어 작성하였습니다. 1.MainActivity.class 2.Human.class(데이터 노드) 3.HumanAdpter 4.ImageActivity(노드 클릭예제) 리스트뷰 화면과 데이터를 눌렀을 때 화면입니다. 1.activity_..
일단 서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APMSETUP을 설치합니다. APM SETUP이란 근사모에서 만든 아파치+PHP+MySQL의 통합 프로그램이며 한번에 설치 및 설정을 다해주기 때문에 편리함 프로그램입니다. 아래 주소로 가시면 설치법이 있습니다. http://twinw.tistory.com/27 먼저 사용할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합니다. 우선적으로 저는 test라는 이름의 DB를 생성하였고 테이블에는 jsy라는 테이블을 생성하였습니다. 그리고 jsy테이블안에 임시로 사용할 필드를 3개 만듭니다. 이때 종류는 text로 하였습니다. 다음은 디비를 동작시킬 PHP쿼리문 입니다. 1.Data_insert.php 3.activity_main.xml 4. PHPRequest.class 위 링크에서 이 클레스를 다운..
안드로이드 및 자바에서 DB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 그리고 받아오기 위한 php 파일에 접속하는 클레스입니다. 예제1 : 데이터 입력 - http://twinw.tistory.com/29 예제2 : 데이터 출력 - 미정 예제3 : 데이터 수정 - 미정 1. NetworkUtil.class import android.annotation.SuppressLint; import android.os.StrictMode; public class NetworkUtil { @SuppressLint("NewApi") static public void setNetworkPolicy() { if (android.os.Build.VERSION.SDK_INT > 9) { StrictMode.ThreadPolicy p..
1. 개요 1982년 물리학자 존 홉필드가 제안한 신경망의 물리적 모델로써 최적화, 연상기억 등에 사용된다. 2. 용어 정의 - 연상기억(associative memory) : 입력된 일부분의 정보를 이용하여 완전한 정보나 연관된 정보를 추론하는 방법 - 양극화(bipolarization) : 0과 1로 표현된 데이터를 -1과 1로 변경하는 것 3. 알고리즘 구조 자기조직화맵(SOM)이나 인공신경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퍼셉트론(perceptron) 등은 연산이나 학습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가중치(weight)가 변경되는 알고리즘이다. 다른 알고리즘과 다르게 홉필드 네트워크(Hopfield network)는 고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완전한 정보를 연상하는 차이점이 있다. 홉필드 네트워크는 학습 패턴에 대..
어느정도 Clone에 대해 사용법을 아시는 분들이라고 생각하고 깊은 복사 얕은 복사의 차이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일차적으로 기본 개인이 생성한 클레스의 Clone()은 아래 코드와 같이 clone()함수를 오버라이딩 하여 재정의함으로서 사용합니다. 안하면 그냥 콜바이레퍼런스로 해당값을 복사가 아니라 가르킵니다. public 개인클레스 clone() throws CloneNotSupportedException { return (개인클레스)super.clone(); } 그러면 ArrayList의 clone()함수는 어떻게 사용하는냐???? 방법은 2가지 입니다. 1. Arraylist의 clone함수를 변경한다. 2. 그냥 함수를 만든다. 여기서 미친놈들이 위에꺼만 하면 ArrayList도 Clone된다라..
res폴더에 있는 xml 파일을 읽는 코드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DOM형식의 파일을 읽는 코드입니다. 그래서 xml 뿐만 아니라 html도 읽는데 활용할수 있습니다. xml을 보면 저는 태그 안에 정보들이 들어 있습니다. NodeList nodeList = doc.getElementsByTagName("data");//여기 변경 코드가 로 둘러 싸여 있는 것들을 모두 가져옮니다. Log.e("tag", String.valueOf(node.getChildNodes().item(1).getFirstChild().getNodeValue()));//여기변경 그리고 .getChildNodes()로 하여 하위 데이터를 읽습니다. 위 로그 같은경우 의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학생과 0 SQ11872 001 교육봉사활..
- Total
- Today
- Yesterday
- 포켓몬 Go
- android
- Res
- Java Decompiler
- 파일 입출력
- Service
- 카운터
- 파일입출력
- 아두이노
- 유전
- counter
- jad
- 자바 입출력
- c언어
- 유전 알고리즘
- vim
- 인텐트
- 테라펀딩 #투게더펀딩 #P2P투자 #부동산 소액 투자 #카카오 #토스
- 포켓몬 고
- java
- Notification
- 서버
- vim 설치
- 5582
- 알고리즘
- LISTVIEW
- java 파일 입출력
- java url
- 안드로이드
- ph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