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도어락 프로젝트를 하면서 가장 문제점이 되었던 부분이 전력문제였다. 실질적으로 9V의 사각 전지를 이용시 아두이노 우노와 NFC 모듈 모두 동작시키니 3일간 동작을 하였다. 이후 보드와 모듈을 전원을 분리하여 공급하였지만 항상 동작하는 보드의 전원 공급은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다. 그래서 좀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한번 찾아보았다. 2. 물리적으로 보드 사용 전력 줄이기 기본적으로 보드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는 3가지가 있다. 1. ATmega168(ATmega168T) 마이크로컨트롤러 2. FT232RL USB UART 3. 파워(정전압) 레귤레이터 : 필요이상으로 높은 전압이 공급될 때에도 원하는 전압(3.3V, 5V)으로 일정하게 출력하는 역할을 함 http://donalmorrisse..
HardWare/아두이노
2016. 7. 7. 02:0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안드로이드
- android
- Java Decompiler
- 테라펀딩 #투게더펀딩 #P2P투자 #부동산 소액 투자 #카카오 #토스
- 아두이노
- Res
- c언어
- 카운터
- LISTVIEW
- jad
- 알고리즘
- 유전
- php
- 포켓몬 고
- java url
- 파일 입출력
- 인텐트
- 자바 입출력
- Notification
- vim 설치
- 포켓몬 Go
- java 파일 입출력
- Service
- java
- 5582
- 서버
- counter
- vim
- 유전 알고리즘
- 파일입출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